서울시가 대형 도시철도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땅꺼짐(지반 침하)’ 사고를 원천 차단하기 위해 사전 감시와 신속 대응을 강화한다. 시는 연약 지반과 지하 매설물이 밀집된 구간을 ‘중점관리구간’으로 지정하고, 육안 점검·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AI 기반 계측기를 활용한 3중 점검 체계를 가동한다고 26일 밝혔다.
 |
출처-서울시 홈페이지 |
동북선·9호선 연장·영동대로 복합개발 3곳 집중 관리
현재 관리 대상은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도시철도 9호선 4단계 연장사업 △영동대로 지하공간 복합개발사업 등 3곳이다. 이들 현장은 대규모 굴착 공사와 지하 매설물이 겹쳐 땅꺼짐 위험이 큰 지역이다.
실제로 지난 7월 말, 동북선 103정거장 인근에서는 집중호우로 빗물이 가시설 주변으로 유입되며 소규모 도로 침하(가로 50㎝, 세로 70㎝, 깊이 80㎝)가 발생했다. 그러나 현장 조사팀이 일상 점검 과정에서 이를 발견해 즉시 복구했고, 주민 불편이나 2차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매일 육안 점검·주 1회 이상 GPR 탐사·AI 계측기 상시 가동
서울시는 지상과 공사장 내부를 매일 전문 인력이 육안 검사하고, 주 1회 이상 GPR 탐사를 실시해 균열과 침하 여부를 기록한다. 의심 구간이 발견되면 산업용 내시경 카메라로 내부 상태를 확인해 곧바로 복구에 나선다.
또한 인공지능이 위험 징후를 분석해 관리자가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스마트 계측기를 설치했다. 현재 동북선 28곳, 9호선 35곳, 영동대로 구간 4곳에 계측기가 운영 중이다.
 |
출처-서울시 홈페이지 |
“선제적 발견·즉각 복구로 안전 확보”
서울시는 추가 GPR 탐사를 통해 인근 도로와 보도, 맨홀·지하관로까지 점검 범위를 확대하고 유관기관과 합동 조사를 벌여 근본적인 복구 및 보강 공사로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김용학 서울시 도시철도국장은 “지반침하를 사고 이후가 아니라 발생 전에 찾아내 복구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선제적 대비와 신속 대응으로 시민 안전을 지키고, 공사 현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체계를 지속 보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