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AI 기술로 지역문제 해결…국립중앙과학관, ‘AI 해커톤’ 개최

지역 자원과 과학문화 융합하는 창의 경연장…9월 11~12일 무박 2일 대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속 국립중앙과학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지역문제를 해결하고 과학문화를 확산하는 ‘AI 해커톤’ 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대회는 과학기술을 전시와 교육을 넘어 지역사회와 실질적으로 연결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주목받고 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9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대전 본관 내 사이언스홀과 세미나실에서 ‘과학관-지역사회 연계 인공지능 끝장 개발대회(AI 해커톤)’를 개최하며, 참가자는 8월 7일부터 25일 밤 11시 30분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할 수 있다.

이번 해커톤은 지역 기업과 협업해 AI 및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지역 기반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역 자원과 과학문화적 가치를 연결하는 것이 핵심 과제다. 참가자들은 생성형 AI 툴과 공공 데이터를 활용해 영상 및 이미지 콘텐츠, 서사 기반 이야기 지도(스토리맵), 전시·체험 콘텐츠 기획 등의 미션을 수행하게 된다.

대회는 직업, 전공, 연령 제한 없이 누구나 지원할 수 있으며, 4인 1팀으로 구성된 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각 팀은 개발자, 디자이너, 기획자, 스토리텔러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아 멘토와 함께 협업하며 지역 이슈 해결 방안을 도출할 예정이다.

최종 수상팀은 창의성, 기술성, 실현 가능성, 감성 전달력 등을 기준으로 심사되며, ▲1등 팀에는 노트북(4인 전원), ▲2등은 상금 100만원, ▲3등은 60만원이 수여된다. 선발된 6개 팀은 9월 4일 온라인 사전 설명회에 참여한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이번 해커톤은 단순한 경진대회를 넘어 AI 시대에 필요한 문제 해결력, 협업 능력,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플랫폼”이라며 “과학기술과 지역의 삶을 연결하는 지속가능한 상생 모델을 고민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해커톤은 과학문화 전문기업 ‘윙윙’, 데이터 기반 콘텐츠 기획사 ‘씨에스피’와 공동 주관하며, 참가 접수 및 자세한 사항은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