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대 l 축소

"한국노총과 더불어민주당, 사회적 경제로 진짜 대한민국의 기초 세운다"

사회적경제위원회 선대위 출범

더불어민주당은 5월 13일 오후, 국회 소통관에서 사회적경제위원회의 선거대책위원회를 공식 출범하며, 복합적인 사회적 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경제 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강력한 의지를 밝혔다. 이번 출범식은 한국노총과의 협력을 강조하며, '진짜 대한민국'을 위한 사회적 경제 모델을 제시했다.

한국노총, 사회적 경제의 필요성 강조

한국노총 김동명 위원장은 출범식에서 "기후 위기, 인구 절벽, 지역 소멸이라는 전대미문의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경제는 단순한 대안이 아니라 지역 공동체를 복원시키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며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새로운 정부에서는 노동운동과 사회적 경제가 적극적으로 협업해 지역경제의 선순환을 창출할 수 있는 과감한 도전이 필요하다"며, "사회적 경제 선대위의 성과가 한국 사회의 공동체에 뿌리내리고, 튼튼하게 자리잡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회적 경제, 포용적 성장의 핵심

더불어민주당은 이날 출범선언문을 통해, 사회적 경제가 복지국가 실현과 지역 경제 활성화, 고용 창출의 핵심 동력임을 재차 강조했다. "사회적 경제는 단순한 경제 모델이 아니라, 돌봄, 의료, 에너지, 주거, 금융, 먹거리 등 삶의 전반을 아우르는 혁신적인 경제로서, 공공성과 지속 가능성을 실현하는 중요한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와 경제위기 속에서 묵묵히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해온 사회적 경제를 다시 일으키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통해 포용적 성장을 이루고, 모두가 행복한 기본사회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책 제안과 더불어민주당의 역할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경제기본법」을 조속히 제정하고, 윤석열 정부에서 삭감된 사회적 경제 관련 예산과 정책을 원상 복구하겠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이재명 후보가 그동안 사회적 경제의 가치를 이해하고 실천해 온 정치인임을 강조하며, 그의 지지를 호소했다.

사회적 경제를 통한 복지국가 건설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한 이번 선대위의 출범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중요한 정치적 논의의 중심으로 떠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계획과 전망

사회적 경제 선대위는 지역 단위의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구체적인 정책들을 제시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 경제 활성화와 고용 창출을 위한 정책들이 중심이 될 것이며, 중앙과 지역이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하는 경제 구조를 만들어 나갈 계획이다.

이번 출범식에는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중앙선대위 총괄선대위원장), 이한주 중앙선대위 정책본부장, 복기왕 사회적경제위원회 선대위 위원장, 경창수, 신윤예, 이미영, 이회수, 임신화, 임종한, 조주연, 황현숙, 정현곤 부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의지를 다졌다.

이전화면맨위로

확대 l 축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