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국민의힘 친한계 의원 16명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의 공동 사퇴를 촉구하며, 당내 대선 후보 변경을 둘러싼 비상대책위원회의 결정에 강력히 반발했다. 이들은 이번 결정이 당의 민주적 절차를 침해하고, 당원들의 피선거권을 침해한 부당한 행위라고 주장했다.
배현진 의원을 비롯한 16명의 의원은 이날 SNS를 통해 성명을 발표하며, "지난 새벽 임시기구인 비대위가 일방적으로 당 대선 후보를 교체하려 한 것은 절차적 하자가 분명한 잘못된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당원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후보 교체가 무산되며, 우리 당의 상식과 민주주의가 살아있음을 보여준 중요한 결론"이라고 강조했다.
후보 교체는 "민주주의 파괴행위"
친한계 의원들은 이번 후보 교체 시도가 "정당사에 유례를 찾을 수 없는 민주주의 파괴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들은 김문수 후보가 경선 중 단일화에 비협조적이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도, 후보 교체 자체는 비합리적이고 비민주적이었다고 주장했다. 특히, "비대위가 김문수 후보의 자격을 박탈한 순간, 경선 자체가 무력화된 것"이라며, "관련법에 따라 당원들이 다시 대선 후보 자격을 부여받아야 했지만, 비대위는 단 1시간만 후보 접수를 받으며 한덕수 후보만 신청할 수 있도록 편법을 동원했다"고 강조했다.
법적 논란, ‘비대위의 새벽 공고’ 문제 제기
이들은 비대위의 후보 접수 시간대와 관련해 법적 논란을 제기했다. 당규 26조 3항에 따르면, 후보자 등록은 공휴일을 제외한 매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돼야 한다. 이에 대해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후보 신청을 받은 것은 명백한 절차적 하자"라며, "이것은 법적 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번 결정은 비민주적 의사결정"이라고 강력히 항의하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조치를 촉구했다.
비대위, ‘월권적 행위’로 신뢰 상실
16명의 의원들은 비대위의 후보 교체 시도가 정치적 정당성을 결여한 월권적 행위라고 지적했다. 그들은 "선출되지 않은 임시체제인 비대위가 후보 교체를 결정한 것은 처음부터 정치적 정당성을 얻기 어려운 일이었으며, 당원 투표 결과도 이를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이들은 "무리한 결정이 당원들과 지지자들에게 큰 실망과 상처를 주었으며, 대선에 큰 악재를 만들어버렸다"고 비판했다.
권영세·권성동 동반 사퇴 촉구
친한계 의원들은 특히 권영세 비대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의 동반 사퇴를 촉구하며, "이번 사태에 깊이 관여한 두 사람의 책임은 어떤 변명으로도 용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비대위는 당의 재정비와 통합을 위해 신속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비대위의 무리한 결정으로 엉망이 된 당내 민주적 질서를 회복하고, 대선 승리를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문수 후보, 대선 후보 자격 회복
한편, 국민의힘은 이날 전 당원 투표를 실시한 결과, 김문수 후보와 한덕수 후보의 교체에 대한 찬반이 반대 쪽이 더 많아, 후보 교체 절차는 중단됐다. 이에 따라 김문수 후보는 대선 후보 자격을 회복했다. 국민의힘은 이번 결과에 대해 "당원들의 의사를 존중한 결과"라고 전하며, 당내 갈등을 봉합하고 대선 준비에 집중할 계획임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