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주도, 전국 최대 드론 자유화구역 본격 운영… “드론으로 안전·물류·관광 다 잡는다”
    • 유선 드론 실시간 모니터링·실종자 수색 항로 구축·VR 체험까지… ‘드론 행정서비스’ 전면 확대
    • 제주특별자치도가 드론 산업을 행정서비스에 본격 도입하며 미래형 스마트 섬으로의 도약을 가속화한다.

      국토교통부가 지정한 전국 최대 규모의 ‘드론특별자유화구역(1,283km²)’으로 운영되는 제주도는, 비행허가와 안전성 인증, 특별비행 승인 등의 규제를 완화받는 전국 유일의 광역급 드론 규제특구다. 제주도는 2021년 6월 1차 지정 이후, 2차 연장(2023~2025)에 이어 현재 3차 연장(~2027년 6월)까지 신청한 상태다.

      올해는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드론 기반 행정서비스가 도입된다. 대표적으로는 유선 드론을 활용한 실시간 안전·교통 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목된다. 이 드론은 4시간 이상 체공하며 인공지능(AI)을 통해 인파 밀집도와 행사 인원수를 분석한다. 해당 기술은 이미 ‘2024 제주 워터밤’, ‘성산 조개바당축제’ 등에서 시범 운영되었으며, 오는 하반기에는 ‘도민체전’ 등 대형 행사에서도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실종자 수색 지원용 드론 항로 구축 사업도 추진 중이다. 제주도는 주요 실종자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기종에 적용 가능한 항로를 제작하고, 유관기관에 배포해 실제 사건 발생 시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물류 분야에서도 부속섬 대상 드론 배송 서비스 확대가 눈에 띈다. 제주산 성게알, 활전복 등 특산물을 대상으로 배송 중량과 운영 시간, 배송함 크기 등이 확장되며, 공공배달앱 ‘먹깨비’와 협력해 유통 활성화도 꾀하고 있다.

      특히 8월부터는 관광 분야에서도 드론이 새로운 체험을 제공한다. 드론 배송센터에서는 VR 기반 탑승형 드론 관광 체험 서비스가 시작된다. 참가자는 드론 움직임에 맞춰 흔들리는 의자에 앉아, 짐벌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을 가상현실 기기를 통해 실시간 시청함으로써 실감나는 관광 콘텐츠를 경험하게 된다. 이 서비스는 금능포구(8~9월)와 알뜨르 비행장(10~11월)에서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아울러 제주도는 도내 공공용 드론의 성능을 관리하기 위해 드론 성능점검 패드 기반 진단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개별 드론의 유지보수 계획을 수립하고, 운용 효율과 안전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김남진 제주도 혁신산업국장은 “제주가 3차에 걸쳐 드론특별자유화구역으로 지정된 것은 드론 산업의 선도 지자체로서의 입지를 보여주는 것”이라며, “도민의 삶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드론 행정서비스를 지속 발굴하고 상용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제주도의 행정형 드론 서비스 확대는 국내 드론 산업의 상용화 가능성을 시험하는 중요한 기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 기반의 지방행정 혁신이 어떤 실질적 효과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s ⓒ 마포저널 & www.mapojournal.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뉴스 더 보기
마포저널로고

대표자명 : 서정은 | 상호 : 마포저널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2
기사제보/취재문의 : 010-2068-9114 (문자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