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료 AI 기업에 최대 4억 원 데이터 바우처 지원…복지부, 혁신 가속화 나선다
    • 의료데이터 중심병원 연계, 맞춤형 데이터 제공 통해 AI 진단·치료 혁신 기대
    • 보건복지부가 의료 인공지능(AI) 개발에 나서는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 최대 4억 원의 데이터 바우처를 지원한다. 복지부와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7월 16일부터 8월 8일까지 ‘의료 AI 데이터 활용 바우처 지원사업’ 공모를 통해 기업 수요를 접수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의료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고, 의료 현장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도로, 2025년 제2회 추경 예산에서 24억 원이 추가로 편성됐다.

      대형과제는 4개 기업에 각 최대 4억 원, 중형과제는 4개 기업에 각 최대 2억 원까지 지원되며, 총 8개 내외의 중소기업·스타트업이 수혜를 입게 된다. 지원 대상은 제약, 의료기기, 디지털헬스케어 등 의료데이터 기반 AI 기술을 활용하는 기업이다.

      의료 AI 개발의 핵심은 ‘데이터’다. 그러나 의료데이터는 민감성과 복잡성, 전처리 및 가공 비용 부담 등으로 민간 활용이 제한돼 왔다. 이에 정부는 데이터 수요 기업과 공급 기관 간의 매칭을 통해 데이터를 안전하게 가공·분석하고, 바우처 형태로 비용을 지원함으로써 AI 혁신의 병목을 풀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사업에는 전국 43개 의료데이터 중심병원이 참여한다. 이들 병원은 임상 데이터를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인프라와 활용 절차를 갖춘 기관으로,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연세 세브란스병원 등 주요 대형 병원이 포함돼 있다.

      활용 가능한 의료 데이터 유형은 CT, MRI, X-ray 등 영상데이터는 물론, 의무기록, 진단서 등의 텍스트, 진단코드나 투약 이력과 같은 정형데이터, 유전체·단백체 등 오믹스 데이터, 심전도(ECG), 뇌파(EEG)와 같은 생체신호, 환자 병력과 생활습관 정보까지 다양하다.

      복지부 관계자는 “의료 AI 기술은 정확한 진단 보조, 의료진 업무 경감, 필수의료 접근성 강화 등에 기여할 수 있다”며 “안전하고 체계적인 데이터 활용 모델을 만들어 의료산업의 혁신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보건의료정보원 누리집(www.k-his.or.k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Copyrights ⓒ 마포저널 & www.mapojournal.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뉴스 더 보기
마포저널로고

대표자명 : 서정은 | 상호 : 마포저널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2
기사제보/취재문의 : 010-2068-9114 (문자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