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병특검, 이원모 전 인사비서관 압수수색…‘이종섭 호주 도피’ 의혹 정조준
    • 대통령실 인사라인까지 수사 확대…출국금지 해제·대사 임명 경위 추적
    • 순직 해병 채상병 사건의 외압·은폐 의혹을 수사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도피성 호주대사 임명 의혹’과 관련해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을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이 이 전 장관의 대사 임명 과정에 개입했는지, 출국금지 해제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고 있다.

      특검에 따르면, 이 전 비서관에 대한 압수수색은 7일 오후 진행됐다. 혐의는 범인도피 및 직권남용 등으로,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의 휴대전화와 각종 기록 자료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이 전 비서관은 윤석열 정부 초기 대통령실 핵심 참모로, 인사 전반을 총괄해온 인물이다.

      ‘출국금지 해제-대사 임명’ 의혹…수사선상 오른 인사 라인
      이종섭 전 장관은 채상병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당사자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직후 수사기록 이첩을 보류하라고 해병대에 지시한 당사자로 지목됐고, 관련 진술도 확보된 상태다. 그런데 그는 지난해 말 호주대사로 전격 임명돼 올해 3월 부임하며 ‘출국금지 해제→도피성 인사’ 논란이 불거졌다.

      특검은 이 과정에 청와대 인사라인과 외교안보라인이 조직적으로 관여했는지 집중 추적 중이다. 앞서 특검은 지난 4일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조태열 전 외교장관, 장호진 전 안보실장, 심우정 전 검찰총장 등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단행했다. 사실상 윤석열 정부 핵심 실세 전반을 겨냥한 수사로, ‘대통령실 책임론’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다.

      특히 특검은 이 전 장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수사 대상에 오른 이후에도 별다른 제지 없이 출국 금지가 풀리고, 외교관 신분으로 출국한 경위에 주목하고 있다. 통상 대사 임명 시 외교부·국정원·검찰의 협의가 이뤄지는데, 이 과정이 얼마나 정상적이었는지가 핵심 쟁점이다.

      ‘도피 방조’ 직권남용 적용 여부…윤 전 대통령 윗선 수사 가늠자
      이원모 전 비서관에 대한 압수수색은 단순한 참고인 조사를 넘는 수사 단계로, 특검이 ‘도피성 인사’를 묵인하거나 방조한 정황을 본격적으로 수사선상에 올렸음을 뜻한다. 실제로 특검은 직권남용 혐의 외에도 범인도피죄 적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대통령실 핵심 인사라인이 이 전 장관의 수사를 회피하게 할 목적으로 대사 인사와 출국을 추진한 정황이 입증된다면,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직접적 책임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까지 윤 전 대통령의 격노→수사기록 회수→구명 로비 정황이 일정 부분 확인된 가운데, 관련자 도피 방조까지 드러날 경우, 특검 수사는 정권 차원의 조직적 은폐 시도로까지 확장될 수 있다.

      ‘대통령의 분노로 시작된 외압’이 ‘대통령실 인사로 끝나는 도피’로 이어졌다면, 이는 단순한 지휘실패를 넘어 헌정질서 왜곡의 문제다. 특검이 이 전 비서관과 전·현직 고위 관계자들의 책임을 어디까지 규명할 수 있을지가 이 수사의 분기점이 될 것이다.
    Copyrights ⓒ 마포저널 & www.mapojournal.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마포저널로고

대표자명 : 서정은 | 상호 : 마포저널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2
기사제보/취재문의 : 010-2068-9114 (문자수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