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김재연 상임대표를 대선 후보로 선출했다. 김 후보는 2025년 4월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대선 후보 선출대회에서 63.85%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강성희 전 의원을 제치고 대선 후보 자리를 차지했다. 강성희 후보는 36.15%를 얻었으며, 최종 투표율은 76%에 달했다.
김재연 후보는 수락 연설에서 “새로운 평등 공화국을 열어내겠다”며, “차별금지법을 제정해 존엄한 일상을 지킬 수 있는 나라, 일하는 모든 사람이 노동조합을 통해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소득, 젠더, 주권, 지역 등 모든 불평등을 깨고, 대한민국 최초의 페미니스트 대통령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내란 종식’과 사회 대개혁 약속
김 후보는 또한 “야5당이 열어낸 ‘내란종식 민주헌정수호 새로운 대한민국 원탁회의’를 통해 내란세력의 재집권을 저지하고, 사회 대개혁을 실천하는 연대의 기틀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그가 제시한 사회 대개혁 계획의 일환으로, 정치적 통합과 민주주의 회복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법적 승소 및 정치적 입지 강화
한편, 김 후보는 최근 국가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청구소송에서도 승소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 8-2부는 4월 18일, 김재연 후보에게 300만 원을 지급하라는 원심을 유지하며, 대한민국 쪽의 항소를 기각했다. 재판부는 경찰이 수사 상황을 언론에 공개한 행위가 위법이라며, 김 후보의 명예와 신용을 훼손했다고 판단했다. 김 후보는 이를 통해 정치인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며, 향후 대선 레이스에서 더욱 주목받을 전망이다.
정치자금법 위반 논란
김 후보는 2023년 6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서울경찰청의 출석 요구를 받았으나, 해당 보도는 수사 내용이 공개되기 전에 언론에 실려 논란을 일으켰다. 그는 "정치자금을 받은 적이 없다"며 보도를 반박한 후, 위법한 피의사실 공표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이번 승소는 김 후보에게 법적 정의를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로 작용하며, 향후 정치적 논란을 잠재울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