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청이 마포로 인근 삼개로에 조성한 ‘소나무 가로수’가 주민 민원과 예산 운용 논란 속에 구설에 올랐다. “왜 도시에 소나무냐”는 지적과 함께, 약 1억 원에 달하는 조경 비용과 그 집행 과정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 “소나무가 맞느냐”는 민원 쏟아져도…
마포구 공원녹지과 김훈진 과장은 최근 의회 회의에서 “선거 기간 동안 가장 많은 민원이 소나무 가로수였다”고 인정했다. 소음, 큰 나무 제거, 도시미관 부적합 등을 이유로 한 주민 불만이 줄을 이었지만, 구청 측은 "도시숲 개념으로 실험적 식재를 시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김 과장은 “2.5m 인도 폭을 확보하면서 대형 소나무만이 아닌 키 작은 나무, 배롱나무, 꽃나무 등을 다층식생으로 식재할 예정”이라고 밝혔지만, 현재는 '소나무만 심어져 있는 상황'이다.
❚ 기부채납? 특정 구간만…나머지는 예산으로
논란이 커지는 이유는 바로 '기부채납'이라는 표현과 실제 예산 운용 간의 괴리다.
공원녹지과는 "삼개로 공사에 대해 건설사 측에서 약 1억 원을 기부해 그 재원으로 식재를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민주당 장정희·배동수 의원 등은 “해당 건설사는 신축 오피스텔 사업자이며, 기부채납은 해당 구간 일부(삼개로 일대)에 한정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나머지 구간은 마포구청 예산으로 추진된 것으로 드러났다.
❚ “이게 1억이 넘는다고?” – 투명성과 적정성 논란
한선미 의원은 “고작 3개월간 진행된 소나무 식재 비용이 1억500만 원”이라는 발언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식재된 나무 수량, 단가, 유지관리 예산에 대한 구체적 자료는 아직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도시 환경에 부적절한 수종 선정, 예산 집행의 불투명성, 기부채납의 반대급부 불명확성 등 3중의 문제가 혼재돼 있다”고 우려한다.
❚ 대안은 무엇인가?
첫째, 도시와 조화된 수종 재검토이다. 서울 시내 가로수로 흔히 쓰이는 이팝나무,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과 비교해 소나무는 도심 미관이나 공간 효율성에서 의문이 많다. 전문가 자문을 받아 주민 선호도와 생태 적합성을 고려한 수종 재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기부채납 공개 시스템의 마련이다. 기부채납 항목, 기부자, 사용 목적과 금액을 명확히 고지하고, 특정 업체와의 유착 또는 반대급부 의혹을 방지하는 조례 정비가 요구된다.
셋째, 주민참여형 도시숲 조성이다. 단순 식재가 아닌, 주민이 참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형 도시숲 조성으로 방향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