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 ‘명일동 사고 이후’ 지반침하 대응 총력
    • GPR 탐사 7,000㎞ 돌파… “공동 100% 조치, 안전지도 실시간 공개”
    • 서울시는 최근 명일동 도로 붕괴(씽크홀) 사고로 시민 불안이 커진 가운데, 지반침하 예방을 위한 GPR(지표투과레이더) 탐사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탐사 결과를 전면 공개한다고 19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올해 9월까지 GPR 탐사 구간은 7,169㎞로, 2015년(614㎞) 대비 12배 가까이 증가했다. 탐사 과정에서 발견된 지하 공동(땅속 빈 공간)은 578곳이며, 모두 선제적으로 복구 조치가 완료됐다. 서울시는 연말까지 9,000㎞, 내년에는 18,000㎞까지 탐사 범위를 넓힐 계획이다.

      GPR 탐사는 지표에 전파를 쏘아 반사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지하의 빈 공간을 조기에 찾아내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2014년 전국 최초로 도입해 지금까지 누적 3만3천㎞를 조사하고 총 7,760개의 공동을 사전 조치했다.
      특히, 1㎞당 공동 발견 건수는 2015년 0.41개에서 올해 0.08개로 5분의 1 수준으로 감소, 시는 “지반 안전 수준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대책에는 굴착공사장 안전 점검 강화도 포함됐다. 시는 지난 4월부터 공사장 주변을 대상으로 매월 1회 특별점검을 시행 중이며, 지하철·터널 등 대형 공사장은 주 1회 집중점검을 하고 있다. 올해 1~9월 동안 총 312개 공사장을 조사해 97개의 공동을 발견, 모두 조치했다.

      서울시는 또한 시민들이 지하 안전 정보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서울안전누리’ 누리집에 ‘GPR 탐사지도’를 공개했다. 2014년 이후 발견된 공동의 위치, 발견일, 조치 결과를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9월부터는 ‘공동 밀집도’ 시각화 기능을 추가해 위험 지역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했다.

      한병용 서울시 재난안전실장은 “서울시는 탐사 인력과 장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며 ‘공동 100% 조치’를 원칙으로 지반침하를 사전 차단하고 있다”며 “명일동 사고를 계기로 굴착공사장 관리 강화와 신기술 도입을 병행해 지하 안전망을 더욱 견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Copyrights ⓒ 마포저널 & www.mapojournal.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확대 l 축소 l 기사목록 l 프린트 l 스크랩하기
마포저널로고

대표자명 : 서정은 | 상호 : 마포저널 | 주소 : 서울특별시 마포구 와우산로 12
기사제보/취재문의 : 010-2068-9114 (문자수신)